반응형 건설이야기140 펌프성능시험배관 설치기준, 릴리프밸브와 물올림배관의 정확한 위치 펌프성능시험배관 설치기준, 물올림배관 및 릴리프밸브 위치 완벽정리 건축설비와 소방설비에서 펌프 시스템은 단순한 기계 장비가 아닌, 화재 대응의 핵심 요소입니다. 특히 펌프성능시험배관, 물올림배관, 릴리프밸브, 압력계는 초기 설계부터 철저한 기준을 준수해야 실전에서 성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관련 기준과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왜, 어디에, 어떻게 설치되어야 하는지 정확하게 짚어보겠습니다. 펌프성능시험배관 설치기준 보러가기 1. 펌프성능시험배관 설치기준‘펌프성능시험배관’은 소방펌프의 토출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필수 장비입니다. 이는 국내 소방청 화재안전기준(NFSC 603)에 따라 다음 기준을 반드시 만족해야 합니다. 설치 위치: 펌프의 토출측 배관 중 개폐밸브 이전 지점.. 2025. 6. 18. 펌프성능시험배관 설치기준과 유량계 구경선정법 – 실무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체크리스트 펌프성능시험배관 설치기준과 유량계 선택법 완벽정리 : 유량조절밸브 위치까지 실무기준으로 설명 소방펌프는 화재 발생 시 안정적이고 충분한 유량과 압력을 확보하는 핵심 설비입니다.하지만 제대로 설치되지 않은 펌프성능시험배관과 유량계는 성능시험 자체를 무의미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실무 현장에서 자주 묻는 펌프성능시험배관의 설치기준, 유량계 구경 선정, 설치거리, 자주 발생하는 오류 사례까지 현장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드립니다. 펌프양정 계산법 보러가기 1. 펌프성능시험배관이란?목적: 설치된 펌프의 토출 성능(유량 및 압력)을 실제 배관 조건에서 시험하기 위한 배관구성: 유량계, 유량조절밸브, 시험밸브 등으로 구성필수요건: 펌프 정격토출량의 175% 이상을 측정할 수 있어야 함설치위치는 개폐밸브.. 2025. 6. 17. 소화기 능력단위 계산법 완벽정리, NFSC 101 기준으로 설치 수량까지 확실하게! 소화기 능력단위 계산법, 정확한 기준과 설치 방법 총정리 건물 내 화재 발생 시 초기 진화를 위한 가장 중요한 장비는 ‘소화기’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소화기 몇 개”를 배치하는 것만으로는 법적 기준을 만족할 수 없습니다. 소화기 능력단위 계산법은 반드시 이해하고 적용해야 하는 화재안전의 핵심 지표입니다.이번 글에서는 NFSC 101(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을 기준으로, 실무자가 반드시 숙지해야 할 소화기 능력단위 계산법의 정확한 기준과 절차를 상세하게 설명드립니다. 옥내소화전설비 NFPC 102 해설 보러가기 1. 소화기 능력단위란?소화기 능력단위란, 해당 소화기가 화재 시 실제로 진압할 수 있는 화재의 면적 또는 난이도를 수치화한 것입니다.1-1. 소화기 능력단위 예시3A: 일반(A.. 2025. 6. 16. 고가수조방식, 압력수조방식, 가압수조방식 차이점 총정리 – 급수방식 선택 가이드 고가수조방식, 압력수조방식, 가압수조방식 차이점 총정리 물 공급 방식 중 핵심적인 시스템으로 손꼽히는 고가수조방식, 압력수조방식, 가압수조방식은 각각 다른 원리와 특성을 가지며, 건축물의 규모와 용도에 따라 적용 방식이 달라집니다. 본 글에서는 건축설비와 소방설비 분야 실무에 기반하여 이 세 가지 급수방식을 정확하게 비교하고,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분석합니다. 펌프양정 계산법 보러가기 1. 고가수조방식 : 중력을 활용한 전통적 급수 방식 1-1. 고가수조방식의 개념 및 구조고가수조방식은 옥상 등 고지대에 설치된 수조에서 중력(수두압)을 이용해 급수하는 방식입니다. 펌프가 직접 공급하지 않고 수조에서 물이 자연 낙하하므로 정전 시에도 일정 시간 급수가 가능한 비상 대응력을 갖습니다.구성요소: 지하 .. 2025. 6. 15. 압력배관용 강관 규격표|SPPS STPG 스케줄별 두께·단중 완벽 정리! 압력배관용 강관 규격표|SPPS, STPG 기준 총정리 (KS D 3562, JIS G 3454) 건축설비와 플랜트 설비에서 널리 사용되는 압력배관용 강관(SPPS, STPG)은 스케줄(Schedule) 두께에 따라 다양한 기계적 특성과 압력 저항 성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본 규격은 KS D 3562-1989 및 JIS G 3454-1988을 기준으로 하며, 스케줄 20부터 스케줄 160까지 폭넓게 적용됩니다. 아래 표는 실제 시공에서 많이 활용되는 규격을 정리한 것이며, 호칭지름, 바깥지름, 두께 및 단위 중량을 포함합니다. 본 표는 배관 시공 및 설계 도면 작성 시 중요한 기준이 되며, 특히 두께 및 단위중량 값은 배관 하중 계산 및 지지대 설계 시 반드시 참조되어야 합니다. 또한, 스케줄별 단중 .. 2025. 6. 10. 이전 1 2 3 4 5 6 7 ··· 2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