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설이야기/건축설비

배수기구단위 및 배수관경 가이드 원활한 배수를 위한 지침서

by 유거니 2025. 3. 16.
반응형

 

배수기구단위 및 배수관경 가이드 원활한 배수를 위한 지침서

배수 기구단위란?
배수기구단위에 대하여 알아보자.

1. 배수기구단위란 무엇인가?

배수기구단위(Fixture Unit, FU)는 배수 시스템 설계에서 특정 위생기구가 배수관에 미치는 상대적인 배수 부하를 수치화한 개념이다. 이는 건축 설비 분야에서 배수관의 크기와 용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배수기구단위의 개념

배수기구단위는 각 기구별 배수량, 배수빈도, 배수속도 등의 요소를 종합하여 설정된다. 단순히 배출되는 물의 양만이 아니라, 동시에 여러 개의 기구가 사용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배수 흐름과 압력 변화까지 고려하여 단위를 산정한다.

배수기구단위의 필요성

  1. 배수관 크기 결정: 배수기구의 사용량과 빈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배수관경을 선택할 수 있음.
  2. 건물 내 배수 시스템 효율성 확보: 설비 과부하를 방지하여 원활한 배수를 유지함.
  3. 배수 시스템의 표준화: 다양한 위생기구가 포함된 건축물에서 체계적인 배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음.

배수기구단위 결정 요소

배수기구단위는 다음과 같은 주요 요소에 따라 결정된다.

  • 배수량 (Drainage Flow Rate): 위생기구에서 배출되는 평균 유량(L/min)
  • 사용 빈도 (Usage Frequency): 특정 기구가 하루 동안 사용되는 횟수
  • 배수 지속 시간 (Duration of Discharge): 물이 흘러나오는 시간
  • 기구 유형 (Type of Fixture): 변기, 세면기, 욕조 등 기구의 종류에 따라 부하단위가 다름
  • 설치 환경 (Installation Environment): 주택용과 상업용 시설의 배수 부하 차이 존재

배수기구단위 적용 예시

  • 대변기(로탱크형): 4 FU
  • 대변기(세정밸브형): 8 FU
  • 세면기: 1 FU
  • 욕조: 2 FU
  • 청소용 싱크대: 3 FU

배수기구단위는 위생기구별로 다르게 적용되며, 건축 설계 시 이를 고려하여 배수관경과 시스템을 설계해야 한다.

2. 배수기구단위 적용 기준

배수기구단위는 위생기구 및 시설의 종류, 사용 목적, 배수 부하 등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적용 기준은 건축 설비 설계 시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각종 법규 및 표준에 의해 결정된다.

배수기구단위 적용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요소

  • 위생기구의 종류와 배수 방식
    • 배수 방식(로탱크형, 세정밸브형 등)에 따라 배수 부하가 달라짐.
    • 변기의 경우, 세정밸브형 변기는 일반 로탱크형 변기보다 많은 배수를 필요로 하므로 배수기구단위가 높음.
    • 샤워기, 세면기 등은 사용 빈도에 따라 배수 부하가 다르게 적용됨.
  • 설치 환경(주택용 vs 공중시설용)
    • 주택용 배수기구: 개인 위생 목적이므로 상대적으로 적은 배수 부하가 적용됨.
    • 공중시설 배수기구: 다수가 사용하는 시설이므로 배수기구단위가 높게 책정됨. 예를 들어, 공공화장실이나 대형 상업시설의 배수 부하는 일반 주택보다 크므로 배수기구단위를 높게 설정해야 함.
  • 사용 빈도 및 시간
    • 하루 중 사용 빈도가 높은 기구는 배수 부하가 높게 설정됨.
    • 예를 들어, 학교, 백화점, 공항 등 다수가 이용하는 곳에서는 배수기구단위가 일반 가정보다 높음.

 

  • 배수량 및 배수 지속시간
    • 특정 위생기구에서 평균적으로 배출되는 물의 양과 지속 시간을 고려하여 배수 부하를 계산함.
    • 세면기는 상대적으로 짧은 배수 지속 시간을 가지므로 배수기구단위가 낮음.
    • 반면, 욕조나 대형 주방 싱크대는 배수 지속 시간이 길어 배수기구단위가 높음.
  • 법규 및 설비 기준 적용
    • 건축법, 설비기준, 위생시설 관련 규정을 따라 배수기구단위를 설정해야 함.
    • 국가별, 지역별 법규가 다를 수 있으므로 해당 지역의 건축 설비 기준을 참조하여 적용해야 함.

 

3. 배수기구단위 표

기구 기구배수 부하단위
대변기 (로탱크형) 4
대변기 (세정밸브형) 8
소변기 (벽걸이형) 4
세면기 1
욕조 2
주택용 싱크대 2
영업용 싱크대 4
청소용 싱크대 3
세탁기 2
화학실험용 싱크 1.5
공중용 욕조 4-6

배수기구단위 적용 기준을 정확히 이해하고 설계에 반영하면, 배수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고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4. 배수관경 및 오수관경 결정 방법

배수관경과 오수관경의 결정은 배수 시스템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 중 하나이다. 적절한 배수관경을 선정하지 않으면 배수 불량, 배관 막힘, 오수 역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관과 오수관의 크기를 정하는 과정에서는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1. 배수관경 결정 원칙

배수관경을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주요 원칙은 다음과 같다.

  • 위생기구의 배수 부하 고려: 각 위생기구의 배수기구단위를 합산하여 전체 배수량을 계산한 후 적절한 배수관경을 선정해야 한다.
  • 배관의 기울기(배관기울기) 반영: 배수관이 중력 배수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적절한 기울기(1/50, 1/100 등)를 유지해야 한다.
  • 배수 흐름 방해 요소 최소화: 배수관 내에서 과도한 저항(급격한 굴곡, 협소한 관경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해야 한다.
  • 법규 및 설비 기준 준수: 건축 설비 기준과 배관법을 준수하여 배수관경을 선정해야 한다.

2. 오수관경 결정 기준

오수관경은 건물에서 배출되는 생활하수 및 오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결정된다. 주택과 상업시설에 따라 요구되는 오수관경이 다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다음 기준을 따른다.

  • 소형 건물(단독주택, 빌라): 최소 75mm 이상의 오수관경 사용
  • 중형 건물(아파트, 중형 상가): 최소 100mm 이상의 오수관경 사용
  • 대형 건물(호텔, 대형 쇼핑몰, 병원 등): 150mm 이상의 오수관경 사용, 필요 시 200mm 이상 적용

5. 건물의 배수관경 및 오수관경 표

배수관경과 오수관경을 결정할 때 아래 표를 참고하면 적절한 크기를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된다.

관경(mm) 1/200 1/100 1/50 1/25
50 - - 21 26
65 - - 24 31
75 - - 27 36
100 - 180 216 250
125 180 216 480 575
150 390 480 840 1,000
200 700 1,000 1,920 2,300
250 1,400 1,920 3,500 4,200
300 2,500 3,500 5,600 6,700
400 3,900 5,600 10,000 12,000

위 표에서 배관기울기별로 연결 가능한 최대 배수기구수를 확인할 수 있으며, 배수관 설계 시 적절한 관경을 선택하는 기준이 된다.

6. 배수관경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

배수관경을 선정할 때는 단순히 배수량을 고려하는 것뿐만 아니라, 배관의 형태, 환경적 요인, 법적 기준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다음은 배수관경 선정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들이다.

6-1. 배수기구와의 연결관경

배수관의 지관 및 본관의 크기는 반드시 접속되는 위생기구의 트랩관경보다 같거나 커야 한다. 트랩관경보다 작은 배수관을 사용할 경우, 배수 저항이 증가하여 역류 및 막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6-2. 배수수직관과 배수수평관의 관계

배수수직관(스택)과 배수수평관의 관경을 비교할 때, 배수수직관의 관경이 배수수평관의 관경보다 작아서는 안 된다. 수직관에서 급격한 압력 변화가 발생할 경우, 배수 효율이 감소하고 공기압 차이로 인해 배수 소음이나 트랩 씰 손실(트랩이 비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6-3. 배관기울기(배관 경사) 유지

배수관경을 선정할 때 배관기울기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배수관은 일반적으로 중력 배수를 이용하므로, 적절한 기울기를 유지해야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다.

  • 1/50 경사: 배수량이 많은 경우 권장됨
  • 1/100 경사: 일반적인 주택 및 상업 건물에 적용 가능
  • 1/200 경사: 최소 경사 기준이므로 배수량이 적은 경우만 적용해야 함 배관의 기울기가 너무 작으면 배수가 원활하지 않으며, 너무 크면 배수 속도가 빨라져 오히려 오수 잔류물이 배관 내에 남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6-4. 배관 내 공기 흐름(통기 시스템 고려)

배수관 내부에서 원활한 배수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기 흐름(통기 시스템, Vent System)이 매우 중요하다. 적절한 통기 설계를 하지 않으면 트랩 씰이 깨지고 악취가 올라올 수 있다.

  • 대형 건물의 경우 별도의 통기관을 설치해야 함
  • 단독주택의 경우 최소 50mm 이상의 통기관이 필요함
  • 수직 배관이 길어질수록 통기 장치를 추가해야 함

6-5. 건물의 용도에 따른 배수 부하 차이

배수관경을 선정할 때는 건물의 용도에 따라 배수 부하가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 주거용 건물: 개인 사용량이 적고 균일하게 배출되므로 비교적 작은 배수관경 적용 가능
  • 상업용 건물: 다수가 사용하는 화장실, 주방 등이 포함되므로 넉넉한 배수관경 필요
  • 산업시설 및 공장: 대량의 물을 순간적으로 배출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큰 배수관경 필요

6-6. 지역 및 국가별 건축 기준 준수

배수관경은 각 국가 및 지역별로 다른 건축법 및 배관 설계 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 한국: 건축설비기준 및 한국건축법(KBC) 적용
  • 미국: 국제 배관 코드(IPC) 및 미국 배관 코드(UPC) 적용
  • 유럽: EN 표준 및 각 국가별 건축 규정 적용 법적 기준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허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6- 7. 향후 유지보수 및 확장성 고려

건물의 용도가 변경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향후 유지보수 및 확장을 고려하여 배수관경을 결정해야 한다.

  • 대형 건물의 경우 미래 리모델링을 고려하여 여유 있는 배수관경 적용
  • 배수관 교체가 어려운 경우 초기 설계에서 충분한 여유를 두는 것이 중요
  • 정기적인 배관 점검이 용이하도록 유지보수 접근성을 고려한 설계 필요

7. 배수기구단위의 실무 적용

배수기구단위는 건축 설계 및 설비 시공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다양한 환경에서 실무적으로 활용된다. 배수 시스템의 적절한 설계는 건물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고, 배수 문제를 최소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7-1. 주택 및 아파트 건설에서의 적용

  • 효율적인 배수 시스템 구축: 배수기구단위를 기반으로 가정 내 변기, 싱크대, 욕조 등의 배수 부하를 계산하여 적절한 배수관경을 선정해야 함.
  • 공동주택의 배수 최적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는 여러 가구가 동시에 배수를 하므로, 배수관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각 층별 배수기구단위 합계를 고려하여 배수관경을 설계함.
  • 배수소음 저감: 배수기구단위를 고려하여 적절한 배관 배치를 계획하면 층간 배수 소음을 줄일 수 있음.

7-2. 상업용 건물(쇼핑몰, 호텔, 사무실)에서의 적용

  • 대규모 배수 시스템 관리: 쇼핑몰, 호텔, 대형 사무실과 같은 건물에서는 대량의 배수가 발생하므로, 각 층별 배수기구단위를 산정하여 배수관을 설계해야 함.
  • 공중화장실의 효율적 배수 설계: 세정밸브형 변기, 소변기, 세면기 등이 다량 설치되는 상업시설에서는 동시 사용률을 고려한 배수기구단위 적용이 필수적임.
  • 배수 역류 방지 시스템 구축: 배수량이 많은 상업시설에서는 역류 방지 장치 및 급속 배수 시스템을 함께 설계하여 원활한 배수 흐름을 유지해야 함.

 

7-3. 산업시설 및 공장 환경에서의 적용

  • 특수 배수 설비 설계: 식품가공공장, 화학공장 등에서는 일반 건물과 달리 산업용 싱크대, 실험실 배수 시설 등이 포함되므로 배수기구단위를 철저히 적용해야 함.
  • 배수 부하 분산 설계: 공장에서 특정 시간에 대량의 물이 배출될 경우, 배수 부하를 분산시키기 위해 배수기구단위를 이용하여 배관 시스템을 설계함.
  • 고강도 배수관 사용 고려: 일반 주택이나 상업시설과 달리, 공장에서는 강산성 또는 고온 배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높은 배수관 재질을 선택해야 함.

7-4. 학교 및 병원과 같은 공공시설에서의 적용

  • 위생적인 배수 시스템 필요: 병원이나 학교의 화장실, 실험실, 주방 등에서의 배수기구단위를 정확히 산정하여 위생적인 환경을 유지해야 함.
  • 긴급 상황 대비 배수 설계: 병원에서는 감염 위험을 줄이기 위해 원활한 배수 시스템이 필수이며, 학교에서는 동시 사용률이 높은 점을 고려하여 배수 설계를 해야 함.

7-5. 배수기구단위를 고려한 유지보수 전략

  • 정기적인 배관 점검: 배수기구단위를 기반으로 설계된 배수 시스템이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막힘이나 부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점검이 필요함.
  • 배수관 교체 및 확장 용이성 확보: 미래의 사용 변화에 대비하여 배수관을 교체하거나 확장하기 용이한 설계를 해야 유지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음.
  • 배수량 변화에 따른 조정 가능성 고려: 건물의 용도가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면, 초기 설계 시 배수기구단위를 넉넉하게 설정하여 변화를 대비하는 것이 중요함.

8. 결론

배수기구단위는 다양한 환경에서 배수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관리하는 데 필수적인 개념이다. 주택, 상업시설, 공장, 공공시설 등에서 배수기구단위를 정확히 적용하면, 원활한 배수 흐름을 유지하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며, 장기적인 시설 관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실무에서는 배수기구단위를 철저히 분석하고 설계에 반영해야 한다.


아래의 글도 참조 하여 봐주시고 많은 공유 부탁드리겠습니다.
 
유건의 건설이야기 : 2번째 블로그 건축설비와 소방설비 및 건설뉴스에 관하여 다룹니다.

유건의 블로그1장 : 건축설비란? 냉난방, 가스, 지역난방설비까지 모든 것!
유건의 블로그2장 : 위생설비란? 급수 배수 오수 환기 위생기구의 모든 것
유건의 블로그3장 : 급수,급탕,환탕이란? 기계실 저수조 부스터펌프 계통도 완전정리
유건의 블로그4장 : 오배수배관이란? 구조, 구배 기준, 통기관 방식까지 한눈에정리!
유건의 블로그5장 : 팬코일배관 완벽 가이드 : 설계, 순환 방식, 유지보수까지 총정리!
유건의 블로그6장 : 기계설비법 개요 및 핵심정리 유지관리 및 성능점검 필수 정보
유건의 블로그7장 : 난방코일배관 완변 가이드 : 지역난방부터 개별난방, 기계실 흐름도까지 총정리
유건의 블로그8장 : 지역난방배관 완벽 가이드 : 개념부터 시공 유지관리 미래전망까지 총정리
유건의 블로그9장 : 내화구조 및 내화충전재 시공 방법 방화구획 배관 덕트 차열재 기준
유건의 블로그10장 : 건축설비 밸브 종류 및 기능 총정리 필수 밸브 가이드
유건의 블로그11장 : 건축설비 슬리브 설치공사 완벽가이드
유건의 블로그12장 : 건축설비 인서트 설치 가이드 하중 계산부터 행거 간격까지 완벽 정리
유건의 블로그13장 : 급수량계산 및 급탕량계산 : 동시사용률 관경 설계가이드
유건의 블로그14장 : 건축설비 에너지 효율화 방안 : 절감과 지속 가능성을 동시에
유건의 블로그15장 : 덕트 및 환기설비공사 완벽 가이드 : 제연설비와 환기설비의 차이점까지
유건의 블로그16장 : 난방부하 완벽 정리! 개념부터 계산법까지 쉽게 이해하기
유건의 블로그17장 : 2025년 개별직종 노임단가 최신 업데이트 건설업 임금 기준 총정리
유건의 블로그18장 : 수압검사 및 기압검사 완벽 가이드 배관 누수테스트 필수 절차
유건의 블로그19장 : 저수조 설치 신고방법 완벽 가이드 필수 서류 & 절차 총정리
유건의 블로그20장 : 벨로즈형 신축이음 : 건축설비배관 필수 장치 완벽 해설
유건의 블로그21장 : 부스터펌프와 인라인펌프 차이점 및 사용처 완벽 정리
유건의 블로그22장 : 주차장 유인휀 설치 : 효과적인 환기 시스템과 유지보수 방법

유건의 블로그23장 : 차압유량조절밸브 최적 설치 위치 및 유량 최적화 가이드

유건의 블로그24장 : 덕트 환기량의 개념과 계산법 마찰 손실과 정압보장 계산까지 정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