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람밸브 점검 방법 및 유지보수 가이드
소방 설비 중 하나인 알람 밸브(Alarm Valve)는 화재 발생 시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통해 신속하게 물을 공급하고, 동시에 경보를 울리는 역할을 합니다. 본 글에서는 알람 밸브의 구조 및 동작 원리, 점검 방법, 유지보수 사항을 전문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알람 밸브란?
알람 밸브는 소방 스프링클러 시스템에서 유수(流水) 신호를 감지하여 경보를 울리는 장치입니다. 스프링클러 헤드가 개방되면 배관 내 압력 저하로 인해 밸브 내부의 클래퍼(Clapper)가 개방되고, 물이 흐르면서 압력 스위치가 작동하여 화재 경보를 울립니다.
알람 밸브는 시스템의 형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 습식(Wet Type) 알람 밸브: 배관 내에 항상 물이 차 있는 형태로, 신속한 화재 진압이 가능함.
- 건식(Dry Type) 알람 밸브: 기온이 낮은 지역에서 사용되며, 배관 내 압축 공기가 차 있어 헤드 개방 시 공기가 빠진 후 물이 흐름.
- 준비작동식(Pre-action Type) 알람 밸브: 감지기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방식으로, 민감한 전산실이나 박물관 등에 사용됨.
2. 알람 밸브의 동작 원리
알람 밸브의 동작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정상 상태
- 배관 내에 일정한 수압이 유지되며, 클래퍼가 닫혀 있음.
- 압력 스위치 라인이 차단되어 있어 경보가 울리지 않음.
2) 화재 발생 시
- 스프링클러 헤드가 개방되면서 배관 내 압력이 급격히 감소.
- 압력 저하로 인해 클래퍼가 개방되며 물이 흐르기 시작.
- 물의 흐름이 압력 스위치를 활성화하여 경보가 울림.
3) 지연 장치(리타딩 챔버)의 역할
- 순간적인 압력 변화(예: 펌프 작동)에 의한 오작동 방지.
- 일정 시간(4~7초) 지연 후에 신호를 보내도록 설정.
3. 알람밸브 점검 방법
알람 밸브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점검이 필수적입니다.
1) 외관 점검
- 배관 및 연결 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하는지 확인.
- 압력계(1차측, 2차측)의 지침이 정상 범위인지 확인.
- 경보 정지 밸브가 정상적으로 열려 있는지 체크.
2) 기능 점검
- 말단 시험 밸브 개방 테스트: 시험 밸브를 개방하여 알람 밸브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
- 압력 스위치 작동 확인: 일정 시간 내에 경보가 울리는지 체크.
- 배수 테스트: 배수 밸브를 개방하여 이물질 유입 여부 확인.
3) 유지보수 및 관리
- 알람 밸브 내부 청소 및 필터(스트레이너) 청소.
- 클래퍼 및 압력 스위치의 부품 마모 여부 점검.
- 배관 부식 상태 확인 및 필요 시 교체.
4. 알람밸브 점검 주기
- 월간 점검: 외관 점검 및 누수 여부 확인.
- 반기 점검: 시험 밸브 개방 및 압력 스위치 테스트.
- 연간 점검: 내부 청소, 부품 교체 및 전체 시스템 점검.
5. 결론
알람 밸브는 화재 발생 시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원활한 작동을 보장하는 중요한 장치입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를 통해 언제든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특히 압력 스위치 및 리타딩 챔버의 작동 상태를 철저히 점검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함께보면 좋은자료 : 건축설비에 관한자료
함께보면 좋은자료 : 건축법률에 관한자료
유건의 블로그 1장 (소방분야) : 공동주택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608) 완벽해설
유건의 블로그 2장 (소방분야) : 공동주택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608) 완벽해설
유건의 블로그 3장 (소방분야) : 건설현장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606) 완벽해설
유건의 블로그 4장 (소방분야) : 건설현장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606) 완벽해설
유건의 블로그 5장 (소방분야) : 소방시설의 내진설계 기준 완벽분석
유건의 블로그 6장 (소방분야) : 옥내소화전 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102) 완벽해설
유건의 블로그 7장 (소방분야) : 옥내소화전 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102) 완벽해설
유건의 블로그 8장 (소방분야) : 스프링클러 헤드 반경 기준 및 용도별 설치거리
유건의 블로그 9장 (소방분야) : 소방기술자 경력관리 및 신고 : 기술 등급, 배치기준, 처벌까지
유건의 블로그 10장 (소방분야) : 임시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 가이드 공사 현장의 화재 예방 필수 사항
'건설이야기 > 소방설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내소화전과 옥외소화전, 설치 목적과 구조·방수압 기준 완벽 비교 (0) | 2025.03.28 |
---|---|
스프링클러 설비 완벽 가이드: 종류, 작동 원리, 유지보수 방법 총정리 (0) | 2025.03.20 |
임시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 가이드 - 공사 현장의 화재 예방 필수 사항 (0) | 2025.03.18 |
소방기술자 경력관리 및 신고: 기술 등급, 배치 기준, 처벌까지 (0) | 2025.03.09 |
스프링클러 헤드 반경 기준 및 용도별 설치 거리 최적 커버 면적 정리 (0) | 202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