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탕설비란? 기본 개념과 핵심 원리 완벽 해설
급탕설비란 건축물 내에서 세면, 목욕, 조리, 세탁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온수(탕)를 필요한 시간에, 적정 온도(55~60℃), 충분한 유량으로 공급하기 위한 기계설비 시스템을 말합니다.
이 설비는 단순히 따뜻한 물을 제공하는 수준을 넘어, 위생 안전성, 에너지 효율성, 사용 편의성, 유지관리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계됩니다.
특히 건축법, 위생법 등 관련 기준(KDS, KCS 등)에 따라 철저하게 설계·시공되어야 하며, 잘못 설계된 급탕설비는 화상 위험, 에너지 낭비, 세균 번식(레지오넬라균)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1. 급탕설비 뜻 : 용어의 정의와 설비 목적
‘급탕’이란 말 그대로 “따뜻한 물을 신속하게 공급하는 것”이며, 급탕설비의 뜻은 이를 가능하게 하는 물리적·기계적 장치 일체를 의미합니다.
이 설비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지닙니다:
- 위생 향상: 손 씻기, 세면, 샤워 등 개인위생 확보
- 편의 제공: 생활 온수의 즉시 사용 가능
- 에너지 효율성 확보: 고효율 가열기, 순환 시스템 등으로 열손실 최소화
안전 확보: 압력 제어, 온도 제한 등으로 사용자 보호
2. 급탕이란? 급수와의 차이점과 시스템 구조
급탕이란 차가운 급수(수도)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한 뒤, 배관을 통해 위생기구(세면기, 샤워기, 싱크대 등)에 공급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 급수는 냉수를 의미하고,
- 급탕은 55~60℃ 수준의 온수를 말합니다.
급탕은 일정 온도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가열기, 저장탱크, 환탕배관, 순환펌프, 온도제어장치 등 다양한 기계설비와 제어 장치가 필요합니다.
3. 환탕이란? 환탕배관 설치 기준 및 유량 계산 공식
환탕이란 ‘다시 순환하는 온수’를 의미합니다. 급탕배관이 30m 이상이거나, 수요 지점까지 거리가 먼 경우에는 온수의 열 손실이 심해지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환탕배관을 설치하여 온수를 다시 급탕열원으로 되돌려줍니다.
환탕유량(Q)은 다음과 같은 공식을 통해 계산됩니다:
- q: 급탕배관의 열손실(kW)
- ρ: 물의 밀도(0.99 kg/L)
- Cp: 물의 비열(4.18 kJ/kg·K)
- Δt: 허용온도차(K) – 공동주택 5K 이하, 일반 건물 5~10K
환탕배관은 급탕온도 유지, 에너지 절약, 수온 편차 최소화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4. 급탕 설비 계통도 : 흐름과 구성요소 한눈에 이해하기
급탕 설비 계통도는 설비 구성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식화한 것으로, 급탕공사의 설계 및 시공 시 필수로 참고되는 자료입니다.
표준 급탕 계통 흐름도 예시:
해당 계통은 위생기구까지의 온수를 항상 목표 온도로 유지하고, 사용하지 않는 온수를 다시 순환시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합니다.
5. 급탕설비 종류 : 국소방식, 중앙식, 태양열 방식 비교 분석
- 국소방식 급탕설비
각 욕실 또는 싱크대 등 수요지점 가까이에 소형 가열기를 설치하는 방식.- 장점: 초기 설치비 저렴, 온도조절 용이
- 단점: 동시에 다수 사용 시 온도 불안정
- 중앙식 급탕설비
건물 중심부 또는 기계실에서 전체 급탕을 통합관리하는 방식.- 장점: 대규모 건물에 적합, 온도 유지 우수
- 단점: 초기 설치비용 및 공간 필요
- 태양열 급탕설비
태양광을 통해 물을 가열하는 친환경 시스템.- 장점: 에너지 비용 절감, 탄소 배출 감소
단점: 날씨에 영향 받음, 보조 열원 필요
6. 기수혼합식 급탕설비 : 정의와 적용 방식
기수혼합식 급탕설비란 고온의 급탕과 냉수를 혼합하여 위생기구에 적정 온도의 물을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온도제어가 중요한 병원, 호텔, 유치원 등에서 자주 사용되며, 다음의 제어 장치가 필요합니다:
- 혼합밸브
- 온도제한장치 (43℃ 이하)
- 자동 온도제어장치
이 방식은 화상 위험 방지, 사용자 보호, 에너지 절감을 동시에 실현합니다.
7. 급탕방식 : 순간식 급탕방식 과 저장식 급탕방식의 차이점 비교
구분 | 순간식 급탕방식 | 저장식 급탕방식 |
작동원리 | 사용 시 즉시 가열 | 미리 가열하여 저장 |
설치비용 | 낮음 | 높음 |
온도 안정성 | 변동 가능 | 일정 유지 |
장점 | 에너지 효율, 공간 절약 | 일정 온도 유지 |
단점 | 유량 많을 경우 온도 불안정 | 보온 유지 에너지 소모 |
순간식은 소형 주택, 원룸에,
저장식은 병원, 호텔, 대형 주택에 적합합니다.
8. 급탕설비 슬리브 : 배관 통과 시 설치 기준
슬리브(Sleeve)란 급탕배관이 슬래브(구조체)를 관통할 때 사용하는 보호관입니다. 슬리브 설치 시 아래와 같은 기준을 따라야 합니다:
- 배관 외경 + 단열 두께 + 시공 여유분 확보
- 방화 슬리브 설치 후 충진재 마감
- 배관 팽창 고려하여 신축이음 포함
- 결로 방지 위한 보온재 철저 시공
슬리브 설치는 단순한 구조보강이 아닌, 화재확산 방지, 배관 보호, 결로 및 진동 차단에 매우 중요합니다.
9. 급탕설비 유지관리 포인트 : 순환펌프, 밸브, 압력 제어
- 급탕순환펌프: 마찰손실수두 기준으로 선정. 사용하지 않을 때 자동 정지 가능해야 함
- 릴리프밸브: 압력 상승 시 자동 개방. 배출구는 바닥으로부터 150mm 이내 설치
- 팽창탱크: 열팽창으로 인한 압력 증가 해소
- 진공 릴리프밸브: 탱크 내부 진공 발생 방지
- 차단밸브/체크밸브: 역류 방지 및 유지보수용
자동 온도제어장치: 사용자 설정온도로 급탕 조절
10. 결론 : 급탕설비는 에너지, 위생, 안전이 융합 된 설비 시스템
급탕설비는 단순한 온수공급을 넘어서 건물의 쾌적성과 안전성, 에너지 효율성까지 책임지는 필수 설비입니다. 따라서 설계단계에서부터 구조, 사용 온도, 배관거리, 순환방식 등을 면밀히 고려해야 하며, 특히 병원, 학교, 대중시설 등에서는 온도조절 및 열손실 최소화 설계가 더욱 중요합니다.
아래의 글도 참조 하여 봐주시고 많은 공유 부탁드리겠습니다.
유건의 건설이야기 : 2번째 블로그 건축설비와 소방설비 및 건설뉴스에 관하여 다룹니다.
유건의 블로그1장 : 건축설비란? 냉난방, 가스, 지역난방설비까지 모든 것!
유건의 블로그2장 : 위생설비란? 급수 배수 오수 환기 위생기구의 모든 것
유건의 블로그3장 : 급수,급탕,환탕이란? 기계실 저수조 부스터펌프 계통도 완전정리
유건의 블로그4장 : 오배수배관이란? 구조, 구배 기준, 통기관 방식까지 한눈에정리!
유건의 블로그5장 : 팬코일배관 완벽 가이드 : 설계, 순환 방식, 유지보수까지 총정리!
유건의 블로그6장 : 기계설비법 개요 및 핵심정리 유지관리 및 성능점검 필수 정보
유건의 블로그7장 : 난방코일배관 완변 가이드 : 지역난방부터 개별난방, 기계실 흐름도까지 총정리
유건의 블로그8장 : 지역난방배관 완벽 가이드 : 개념부터 시공 유지관리 미래전망까지 총정리
유건의 블로그9장 : 내화구조 및 내화충전재 시공 방법 방화구획 배관 덕트 차열재 기준
유건의 블로그10장 : 건축설비 밸브 종류 및 기능 총정리 필수 밸브 가이드
유건의 블로그11장 : 건축설비 슬리브 설치공사 완벽가이드
유건의 블로그12장 : 건축설비 인서트 설치 가이드 하중 계산부터 행거 간격까지 완벽 정리
유건의 블로그13장 : 급수량계산 및 급탕량계산 : 동시사용률 관경 설계가이드
유건의 블로그14장 : 건축설비 에너지 효율화 방안 : 절감과 지속 가능성을 동시에
유건의 블로그15장 : 덕트 및 환기설비공사 완벽 가이드 : 제연설비와 환기설비의 차이점까지
유건의 블로그16장 : 난방부하 완벽 정리! 개념부터 계산법까지 쉽게 이해하기
유건의 블로그17장 : 2025년 개별직종 노임단가 최신 업데이트 건설업 임금 기준 총정리
유건의 블로그18장 : 수압검사 및 기압검사 완벽 가이드 배관 누수테스트 필수 절차
유건의 블로그19장 : 저수조 설치 신고방법 완벽 가이드 필수 서류 & 절차 총정리
유건의 블로그20장 : 벨로즈형 신축이음 : 건축설비배관 필수 장치 완벽 해설
유건의 블로그21장 : 부스터펌프와 인라인펌프 차이점 및 사용처 완벽 정리
유건의 블로그22장 : 주차장 유인휀 설치 : 효과적인 환기 시스템과 유지보수 방법
유건의 블로그23장 : 차압유량조절밸브 최적 설치 위치 및 유량 최적화 가이드
유건의 블로그24장 : 덕트 환기량의 개념과 계산법 마찰 손실과 정압보장 계산까지 정리
유건의 블로그25장 : 배수기구단위 및 배수관경 가이드 원활한 배수를 위한 지침서
유건의 블로그26장 : 배관별 스케쥴 및 관경에 따른 수압시험 압력 분석
유건의 블로그27장 : 보온공사 표준시방서 적용 방법과 필수 체크리스트
유건의 블로그28장 : 배관설비공사 시방서 최적의 재료 선정가이드
유건의 블로그29장 : 열원기기 설비공사 완벽해설 KCS 31 25 10 시방서기준
유건의 블로그30장 : 우수배관 설계부터 시공까지 완벽가이드
유건의 블로그31장 : 공동주택의 급수설비 비교 : 부스터펌프 방식과 수직배관 방식
유건의 블로그32장 : 급수배관 설계시 주요 고려사항
유건의 블로그33장 : 급탕순환펌프의 역할과 효율적인 시스템 설계 방법
유건의 블로그34장 : 건축물 우수설비 설계 침수걱정 없는 5가지요소
유건의 블로그35장 : 배수펌프와 트렌치의 역할 (지하주차장 침수방지)
유건의 블로그36장 : 감압밸브란? 소음, 고장, 조절, 교체비용까지 정리
유건의 블로그37장 : 체크밸브란? 구조,원리,종류 부터 설치방향까지 정리
유건의 블로그38장 : 전열교환기 완전정복 원리,필터,전기세,설치까지
유건의 블로그39장 : 급수설비 시방서
유건의 블로그40장 : 슬리브 설치(2) 상세보기
'건설이야기 > 건축설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화조 청소부터 구조·설치·가격까지, FRP·PE 정화조 완전정복 (0) | 2025.04.12 |
---|---|
압력 단위 완벽정리, Pa·MPa·kgf/cm²·bar·atm·기압·mAq 차이와 변환법 (0) | 2025.04.11 |
건축설비 슬리브 시공법 완벽정리|지수판 슬리브, 성형슬리브, 관통슬리브 종류·용도·규격 총정리 (0) | 2025.04.04 |
급수설비 시방서 총정리, 위생기구 수압·관지름·가압설비 완벽 가이드 (0) | 2025.04.02 |
전열교환기 완전정복: 원리, 필터, 전기세, 설치까지 모든 것 (0)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