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수식 냉동기 원리와 구조, 장점과 단점까지 완벽 정리!
목차
- 흡수식 냉동기란 무엇인가?
- 흡수식 냉동기의 작동 원리
- 흡수식 냉동기의 주요 구성요소
- 흡수식 냉동기의 장점
- 흡수식 냉동기의 단점
- 기계식 냉동기와 흡수식 냉동기의 비교
- 흡수식 냉동기의 응용 분야 및 설치 사례
- 흡수식 냉동기의 유지관리 및 효율 향상 팁
- 맺음말
흡수식 냉동기란 무엇인가?
흡수식 냉동기(Absorption Chiller)는 전기를 사용하는 압축식 냉동기와 달리, 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냉각 효과를 얻는 시스템입니다. 일반적으로 가열원이 되는 스팀, 온수, 배기열 등을 활용해 냉매를 순환시키는 친환경 설비로, 에너지 재활용 측면에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흡수식 냉동기는 주로 대형 건물의 지역 냉방 시스템, 산업용 플랜트, 공공기관, 병원 등에 활용되며, 전기 소비가 적은 점에서 전기요금 절감과 에너지 효율 향상을 동시에 기대할 수 있습니다.
흡수식 냉동기의 작동 원리
흡수식 냉동기의 작동 원리는 냉매의 기화와 흡수를 반복하여 냉각하는 방식입니다. 다음은 일반적인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LiBr-H₂O) 기반 흡수식 냉동기의 사이클입니다.
- 증발기(Evaporator): 저압 상태의 물이 기화하면서 주변에서 열을 흡수해 냉각 효과를 발생시킵니다.
- 흡수기(Absorber): 수증기를 리튬브로마이드 용액이 흡수합니다. 이 과정에서 발열이 발생하여 흡수기를 냉각해야 합니다.
- 재생기(Generator): 외부 열원(스팀, 온수 등)을 이용해 수증기를 분리해 냉매로 다시 활용합니다.
- 응축기(Condenser): 수증기가 냉각되어 액화되며, 다시 증발기로 이동하여 순환됩니다.
✅ 요약: 냉매(물)와 흡수제(LiBr)의 상호작용을 통해 냉각을 이루며, 외부 전기모터 대신 열 에너지를 주 에너지원으로 사용합니다.
흡수식 냉동기의 주요 구성요소
- 증발기 (Evaporator)
- 냉수라인(CWS, CWR)이 지나며 열을 빼앗김
- 냉매가 기화하면서 주위 열을 흡수
- 흡수기 (Absorber)
- 수증기와 LiBr 용액이 접촉하여 냉매를 흡수
- 냉각수라인(CDS, CDR)으로 흡수열 제거
- 재생기 (Generator)
- 고온의 열원(스팀, 온수, 배기열 등)으로 흡수액에서 냉매를 분리
- 응축기 (Condenser)
- 분리된 수증기를 냉각시켜 액체 냉매로 변화
- 펌프 및 열교환기
- LiBr 용액과 냉매의 순환을 위한 펌프
- 에너지 절약을 위한 내부 열교환기
흡수식 냉동기의 장점
- ✅ 전기 사용량 절감: 전기압축기 대신 열원 사용으로 전력 사용이 대폭 감소
- ✅ 폐열 활용 가능: 산업공정, 보일러 등의 폐열을 냉방에 재활용 가능
- ✅ 무소음, 무진동 운전: 기계식 압축기 없음으로 진동과 소음 최소화
- ✅ 친환경 시스템: CFC 등 냉매 사용이 없거나 적음. 탄소배출 저감에 기여
흡수식 냉동기의 단점
- ❌ 초기 투자비용이 높음: 기계설비가 크고 고가
- ❌ 운전범위 제약: 외부 열원이 부족하면 성능저하
- ❌ 부분부하 운전 효율 저하: 정격 조건을 벗어나면 COP 급감
- ❌ 흡수액의 부식성: LiBr의 부식 특성으로 재질 선택과 관리 중요
기계식 냉동기와 흡수식 냉동기의 비교
구분 | 흡수식 냉동기 | 기계식 냉동기 |
에너지원 | 열원 (스팀, 온수 등) | 전기 |
냉매 | 물 | 프레온계 냉매 |
주요 구성 | 증발기, 흡수기, 재생기, 응축기 |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
에너지 효율 | 낮음 (COP 0.6~1.2) | 높음 (COP 3~6) |
소음/진동 | 매우 적음 | 높음 (압축기 존재) |
적용 분야 | 폐열 이용, 대형건물 | 일반 사무실, 소형설비 |
흡수식 냉동기의 응용 분야 및 설치 사례
- 지역 냉방 시스템
- 대형 건물, 관공서, 병원, 대형 쇼핑몰 등
- 지역 집단에너지 공급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
- 산업폐열 회수 시스템
- 제철소, 화학공장 등에서 나오는 고온 배기열을 재활용
- 병원 및 공공시설
- 저소음 설비 요구가 높은 병원에 적합
- 중단 없는 냉방이 중요한 통신시설 등
흡수식 냉동기의 유지관리 및 효율 향상 팁
- ✅ LiBr 농도 점검: 농도가 너무 낮으면 냉방능력 저하, 너무 높으면 결정화 위험
- ✅ 진공상태 유지: 흡수식 시스템은 진공 상태에서 운전되므로, 미세한 누설도 성능에 치명적
- ✅ 주기적인 열교환기 세척: 스케일, 오염 제거로 열전달 효율 유지
- ✅ 냉각수 품질관리: 수질이 나쁘면 열교환기에 부식 및 슬러지 발생
맺음말
흡수식 냉동기는 에너지 절약과 탄소중립 시대에 맞춰 다시 주목받는 냉동기술입니다. 초기 비용은 높을 수 있으나, 폐열 회수 및 친환경 운전이 가능한 장점은 이를 충분히 상쇄합니다.
특히 대형 건물이나 산업체에서 에너지 비용 절감과 환경경영 실현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핵심 설비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아래의 글도 참조 하여 봐주시고 많은 공유 부탁드리겠습니다.
유건의 건설이야기 : 2번째 블로그 건축설비와 소방설비 및 건설뉴스에 관하여 다룹니다.
유건의 블로그1장 : 건축설비란? 냉난방, 가스, 지역난방설비까지 모든 것!
유건의 블로그2장 : 위생설비란? 급수 배수 오수 환기 위생기구의 모든 것
유건의 블로그3장 : 급수,급탕,환탕이란? 기계실 저수조 부스터펌프 계통도 완전정리
유건의 블로그4장 : 오배수배관이란? 구조, 구배 기준, 통기관 방식까지 한눈에정리!
유건의 블로그5장 : 팬코일배관 완벽 가이드 : 설계, 순환 방식, 유지보수까지 총정리!
유건의 블로그6장 : 기계설비법 개요 및 핵심정리 유지관리 및 성능점검 필수 정보
유건의 블로그7장 : 난방코일배관 완변 가이드 : 지역난방부터 개별난방, 기계실 흐름도까지 총정리
유건의 블로그8장 : 지역난방배관 완벽 가이드 : 개념부터 시공 유지관리 미래전망까지 총정리
유건의 블로그9장 : 내화구조 및 내화충전재 시공 방법 방화구획 배관 덕트 차열재 기준
유건의 블로그10장 : 건축설비 밸브 종류 및 기능 총정리 필수 밸브 가이드
유건의 블로그11장 : 건축설비 슬리브 설치공사 완벽가이드
유건의 블로그12장 : 건축설비 인서트 설치 가이드 하중 계산부터 행거 간격까지 완벽 정리
유건의 블로그13장 : 급수량계산 및 급탕량계산 : 동시사용률 관경 설계가이드
유건의 블로그14장 : 건축설비 에너지 효율화 방안 : 절감과 지속 가능성을 동시에
유건의 블로그15장 : 덕트 및 환기설비공사 완벽 가이드 : 제연설비와 환기설비의 차이점까지
유건의 블로그16장 : 난방부하 완벽 정리! 개념부터 계산법까지 쉽게 이해하기
유건의 블로그17장 : 2025년 개별직종 노임단가 최신 업데이트 건설업 임금 기준 총정리
유건의 블로그18장 : 수압검사 및 기압검사 완벽 가이드 배관 누수테스트 필수 절차
유건의 블로그19장 : 저수조 설치 신고방법 완벽 가이드 필수 서류 & 절차 총정리
유건의 블로그20장 : 벨로즈형 신축이음 : 건축설비배관 필수 장치 완벽 해설
유건의 블로그21장 : 부스터펌프와 인라인펌프 차이점 및 사용처 완벽 정리
유건의 블로그22장 : 주차장 유인휀 설치 : 효과적인 환기 시스템과 유지보수 방법
유건의 블로그23장 : 차압유량조절밸브 최적 설치 위치 및 유량 최적화 가이드
유건의 블로그24장 : 덕트 환기량의 개념과 계산법 마찰 손실과 정압보장 계산까지 정리
유건의 블로그25장 : 배수기구단위 및 배수관경 가이드 원활한 배수를 위한 지침서
유건의 블로그26장 : 배관별 스케쥴 및 관경에 따른 수압시험 압력 분석
유건의 블로그27장 : 보온공사 표준시방서 적용 방법과 필수 체크리스트
유건의 블로그28장 : 배관설비공사 시방서 최적의 재료 선정가이드
유건의 블로그29장 : 열원기기 설비공사 완벽해설 KCS 31 25 10 시방서기준
유건의 블로그30장 : 우수배관 설계부터 시공까지 완벽가이드
유건의 블로그31장 : 공동주택의 급수설비 비교 : 부스터펌프 방식과 수직배관 방식
유건의 블로그32장 : 급수배관 설계시 주요 고려사항
유건의 블로그33장 : 급탕순환펌프의 역할과 효율적인 시스템 설계 방법
유건의 블로그34장 : 건축물 우수설비 설계 침수걱정 없는 5가지요소
유건의 블로그35장 : 배수펌프와 트렌치의 역할 (지하주차장 침수방지)
유건의 블로그36장 : 감압밸브란? 소음, 고장, 조절, 교체비용까지 정리
유건의 블로그37장 : 체크밸브란? 구조,원리,종류 부터 설치방향까지 정리
유건의 블로그38장 : 전열교환기 완전정복 원리,필터,전기세,설치까지
유건의 블로그39장 : 급수설비 시방서
유건의 블로그40장 : 슬리브 설치(2) 상세보기
유건의 블로그41장 : 급탕설비란? 급탕이란 뜻부터 종류, 계통도, 슬리브, 환탕까지 총정리!
유건의 블로그42장 : 압력의 단위 완벽 정리
유건의 블로그43장 : 정화조 청소부터 구조, 설치, 가격까지
유건의 블로그44장 : 수격방지기 구조 완벽 정리
'건설이야기 > 건축설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차장·입상배관 루프 시공, 신축관 대신 가능한가? 시공사례와 기준 완벽 정리 (0) | 2025.04.15 |
---|---|
건축설비 신축관(익스펜션 조인트), 설치기준과 복식·단식 차이 완벽 해설 (0) | 2025.04.15 |
수격방지기 구조 완벽 해설, 피스톤식·공기실 방식까지 설치 방법과 유지관리 노하우 총정리 (0) | 2025.04.14 |
정화조 청소부터 구조·설치·가격까지, FRP·PE 정화조 완전정복 (0) | 2025.04.12 |
압력 단위 완벽정리, Pa·MPa·kgf/cm²·bar·atm·기압·mAq 차이와 변환법 (0)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