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설이야기/건축설비

건축설비 신축관(익스펜션 조인트), 설치기준과 복식·단식 차이 완벽 해설

by 유거니 2025. 4. 15.
반응형

 

건축설비 신축관(익스펜션 조인트)의 기능과 설치기준, 복식 단식의 차이 완벽정리

<img src="신축관 주제 이미지.jpg" alt="신축관에 대하여 알아보자.">
신축관에 대하여 알아보자.

목차

1. 신축관(익스펜션 조인트)이란?

신축관(익스펜션 조인트, Expansion Joint)은 건물 내부의 배관설비에서 열팽창, 수축, 진동, 구조체의 움직임 등에 의해 발생하는 배관 스트레스(응력)를 흡수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입니다.


배관은 길이가 길어질수록 열에 의한 변형 폭이 커지며, 이러한 변형을 흡수하지 않으면 배관의 파손, 누수, 소음, 장비 고장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신축관의 주요 기능

① 열팽창·수축 대응

냉온수, 증기, 급탕 등 다양한 유체가 흐를 때 배관은 온도에 따라 팽창하거나 수축합니다. 신축관은 온도변화에 따른 길이변화를 흡수하여 응력을 해소합니다.

② 구조물의 이동 흡수

지진, 건물 침하, 진동 등 구조체의 이동이 발생할 때, 배관이 이로 인해 손상되지 않도록 신축관이 유연한 움직임을 흡수합니다.

③ 진동 및 소음 완화

기계실이나 펌프, 팬, 냉동기 등에서 발생하는 기계적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여 설비의 안정성과 사용자 쾌적성을 높입니다.

④ 배관 내구성 향상

응력 해소를 통해 배관의 수명 연장, 설비 고장 방지 등의 효과를 제공합니다.

3. 신축관이 필요한 이유

배관의 재료가 금속일 경우, 열팽창 계수가 존재하므로, 수십 미터 이상 되는 배관은 팽창에 의해 수 센티미터 이상 변형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온도차 50°C, 20m 길이, 스틸 배관의 경우 약 2cm 이상 늘어남
  • 이러한 팽창이 흡수되지 않으면 관이 휘거나 파손

건축설비 설계 시 신축관 적용은 안전성과 내구성 확보를 위한 필수 항목입니다.

4. 신축관 설치기준 및 위치 선정

① 설치 기준

  • 직선 배관 15m~30m 이상 연장 시 신축관 설치 권장
  • 엘보나 루프 대신 사용 가능
  • 건물 이음부(Expansion Joint 구조부)에는 반드시 설치
  • 진동 발생이 예상되는 펌프·기계 전후 위치에도 설치

② 설치 위치

  • 건축물의 동절 구간, 즉 구조적으로 분리된 지점
  • 주 배관(메인 라인)의 중간 또는 끝단
  • 고온 또는 저온 유체가 흐르는 온도 변화가 큰 배관 구간

③ 설치 간격

  • 일반적으로 30m 이하 간격으로 설치
  • 배관 재질, 유체 온도, 설치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5. 신축관의 종류별 구분

  •  
종류 설명 적용 분야
벨로우즈형 금속 벨로우즈로 구성된 가장 일반적인 신축관 온수·증기·급탕 등 고온 유체
고무형 고무재질로 유연성과 방진 기능이 우수 저압 배관, 진동이 큰 설비 주변
슬라이딩형 이중관 구조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길이 변화 흡수 대형 산업 배관, 수평 팽창 보정
루프형 배관 자체를 곡선(루프)으로 구성해 팽창 흡수 소규모 배관, 간단한 구조에서 사용

6. 단식 신축관과 복식 신축관의 차이

① 단식 신축관 (Single Expansion Joint)

<img src="신축관 단식.jpg" alt="신축관 단식">
신축관 단식

  • 하나의 벨로우즈(주름관)로 구성된 구조
  • 축 방향 팽창만 흡수 가능
  • 간단한 구조, 비용이 저렴
  • 한 방향 이동에만 적합
  • 주로 직선 구간이나 간단한 조건의 배관에서 사용

② 복식 신축관 (Universal Expansion Joint)

<img src="신축관 복식.jpg" alt="신축관 복식">
신축관 복식

  • 두 개의 벨로우즈 + 중간 튜브 또는 커넥터로 구성
  • 축 방향, 측방향, 편심 이동 등 다방향 이동 흡수 가능
  • 복잡한 조건, 이동이 큰 구조물, 진동이 심한 구간에 적합
  • 고가이나 안정성과 흡수 능력 우수

차이점 요약 비교

구분 단식 신축관 복식 신축관
구조 1개의 벨로우즈 2개의 벨로우즈
가격 저렴 비쌈
흡수 방향 축 방향 한정 축 + 측방 + 회전 가능
적용 위치 직선 구간 이동 많고 복합 응력 있는 구간
예시 일반 배관 지하 배관, 구조 이격부

7. 신축관 시공 시 주의사항

  1. 고정점(Fixed Point) 확보
    • 신축관은 응력을 흡수하지만 배관 전체를 이동시킬 수 없음
    • 신축관 앞뒤로 반드시 고정 지지대 및 가이드 설치 필요
  2. 축 방향만 고려 금물
    • 실제 사용 중에는 측방·비틀림 응력도 발생
    • 복합 응력 예상 시 복식 구조 사용
  3. 누수 방지
    • 용접부 또는 플랜지 체결부의 완전한 밀폐성 확보
    • 내식성 재질 선택 필수
  4. 보온·보냉 마감처리
    • 고온·저온 배관일 경우 신축관도 동일하게 마감
  5. 정기점검
    • 사용 중 벨로우즈 파손, 균열 등의 이상 발생 가능
    • 정기적 진단과 교체 주기 관리 필요

8. 마무리하며

신축관은 단순한 부속처럼 보일 수 있지만, 건축물의 안전성과 설비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핵심 장치입니다.


특히 단식과 복식 신축관의 구조적 차이를 이해하고, 설비의 조건에 맞는 선택과 설치가 이뤄져야만 진정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설계단계에서의 올바른 적용, 시공단계에서의 정확한 설치, 유지관리 단계에서의 정기점검이 삼위일체로 작동할 때, 설비는 안정적으로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글도 참조 하여 봐주시고 많은 공유 부탁드리겠습니다.
 
유건의 건설이야기 : 2번째 블로그 건축설비와 소방설비 및 건설뉴스에 관하여 다룹니다.

유건의 블로그1장 : 건축설비란? 냉난방, 가스, 지역난방설비까지 모든 것!
유건의 블로그2장 : 위생설비란? 급수 배수 오수 환기 위생기구의 모든 것
유건의 블로그3장 : 급수,급탕,환탕이란? 기계실 저수조 부스터펌프 계통도 완전정리
유건의 블로그4장 : 오배수배관이란? 구조, 구배 기준, 통기관 방식까지 한눈에정리!
유건의 블로그5장 : 팬코일배관 완벽 가이드 : 설계, 순환 방식, 유지보수까지 총정리!
유건의 블로그6장 : 기계설비법 개요 및 핵심정리 유지관리 및 성능점검 필수 정보
유건의 블로그7장 : 난방코일배관 완변 가이드 : 지역난방부터 개별난방, 기계실 흐름도까지 총정리
유건의 블로그8장 : 지역난방배관 완벽 가이드 : 개념부터 시공 유지관리 미래전망까지 총정리
유건의 블로그9장 : 내화구조 및 내화충전재 시공 방법 방화구획 배관 덕트 차열재 기준
유건의 블로그10장 : 건축설비 밸브 종류 및 기능 총정리 필수 밸브 가이드
유건의 블로그11장 : 건축설비 슬리브 설치공사 완벽가이드
유건의 블로그12장 : 건축설비 인서트 설치 가이드 하중 계산부터 행거 간격까지 완벽 정리
유건의 블로그13장 : 급수량계산 및 급탕량계산 : 동시사용률 관경 설계가이드
유건의 블로그14장 : 건축설비 에너지 효율화 방안 : 절감과 지속 가능성을 동시에
유건의 블로그15장 : 덕트 및 환기설비공사 완벽 가이드 : 제연설비와 환기설비의 차이점까지
유건의 블로그16장 : 난방부하 완벽 정리! 개념부터 계산법까지 쉽게 이해하기
유건의 블로그17장 : 2025년 개별직종 노임단가 최신 업데이트 건설업 임금 기준 총정리
유건의 블로그18장 : 수압검사 및 기압검사 완벽 가이드 배관 누수테스트 필수 절차
유건의 블로그19장 : 저수조 설치 신고방법 완벽 가이드 필수 서류 & 절차 총정리
유건의 블로그20장 : 벨로즈형 신축이음 : 건축설비배관 필수 장치 완벽 해설
유건의 블로그21장 : 부스터펌프와 인라인펌프 차이점 및 사용처 완벽 정리
유건의 블로그22장 : 주차장 유인휀 설치 : 효과적인 환기 시스템과 유지보수 방법

유건의 블로그23장 : 차압유량조절밸브 최적 설치 위치 및 유량 최적화 가이드

유건의 블로그24장 : 덕트 환기량의 개념과 계산법 마찰 손실과 정압보장 계산까지 정리

유건의 블로그25장 : 배수기구단위 및 배수관경 가이드 원활한 배수를 위한 지침서

유건의 블로그26장 : 배관별 스케쥴 및 관경에 따른 수압시험 압력 분석

유건의 블로그27장 : 보온공사 표준시방서 적용 방법과 필수 체크리스트

유건의 블로그28장 : 배관설비공사 시방서 최적의 재료 선정가이드

유건의 블로그29장 : 열원기기 설비공사 완벽해설 KCS 31 25 10 시방서기준

유건의 블로그30장 : 우수배관 설계부터 시공까지 완벽가이드

유건의 블로그31장 : 공동주택의 급수설비 비교 : 부스터펌프 방식과 수직배관 방식

유건의 블로그32장 : 급수배관 설계시 주요 고려사항

유건의 블로그33장 : 급탕순환펌프의 역할과 효율적인 시스템 설계 방법

유건의 블로그34장 : 건축물 우수설비 설계 침수걱정 없는 5가지요소

유건의 블로그35장 : 배수펌프와 트렌치의 역할 (지하주차장 침수방지)

유건의 블로그36장 : 감압밸브란? 소음, 고장, 조절, 교체비용까지 정리

유건의 블로그37장 : 체크밸브란? 구조,원리,종류 부터 설치방향까지 정리

유건의 블로그38장 : 전열교환기 완전정복 원리,필터,전기세,설치까지

유건의 블로그39장 : 급수설비 시방서

유건의 블로그40장 : 슬리브 설치(2) 상세보기

유건의 블로그41장 : 급탕설비란? 급탕이란 뜻부터 종류, 계통도, 슬리브, 환탕까지 총정리!

유건의 블로그42장 : 압력의 단위 완벽 정리

유건의 블로그43장 : 정화조 청소부터 구조, 설치, 가격까지

유건의 블로그44장 : 수격방지기 구조 완벽 정리

유건의 블로그45장 : 흡수식 냉동기의 원리 및 구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