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설이야기/건축설비

배수관 관경 계산 공식과 적용 방법, 실전 노하우까지 완벽 정리!

by 유거니 2025. 4. 30.
반응형

배수관 관경 계산 공식과 적용 방법 – 실전 경험 기반 완벽 정리

이 배관 사이즈 틀리면 역류 난리 납니다!
실무자가 직접 겪은 '배수관 관경 계산' 실수와 해법 공개!

<img src="배수관관경 산정공식.jpg" alt="배수관관경 산정공식에 대하여 알아보자.">
배수관관경 산정공식에 대하여 알아보자.

 

배수관 관경 계산, 왜 이렇게 중요한가?

건축설비 분야에서 배수관 관경 계산은 결코 가볍게 볼 수 없는 작업입니다.

잘못된 배관 설계는 곧바로 누수, 역류, 소음 같은 문제를 일으키며, 이는 하자보수 비용을 증가시키고 입주자 불만을 초래합니다.

 

실제로 2024년 건축 하자 신고 통계에 따르면, 건축설비 하자의 32%가 배수 관련 문제로 집계되었습니다.

 

저도 처음 배수관을 설계할 때, 단순히 규정만 따르고 감으로 결정했다가 시공 후 잦은 막힘과 누수로 엄청난 클레임을 받은 경험이 있습니다.

 

그 이후, 배수관 관경을 정확하게 계산하고 적용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뼈저리게 깨달았습니다.

 

오배수배관이란? 구조, 구배기준, 통기방식까지 한눈에 알아보기

배수관 관경 계산의 기본 개념

배수관 관경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1. 위생기구의 배수량 (Discharge Rate)
  2. 동시사용률 (Simultaneous Usage Rate)

여기에 추가로 배관 경사도와 허용 유속까지 감안해야 최적의 관경을 산정할 수 있습니다.

 

위생설비란 무엇인가?

배수관 관경 산정 공식

가장 기본적인 배수관 관경 산정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img src="배수관관경 산정공식.jpg" alt="배수관관경 산정공식에 대하여 알아보자.">
배수관관경 산정공식

 

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급수,급탕량 계산방식 알아보기

배수관 관경 실전 적용: 위생기구 배수단위(WFU) 사용법

한국에서는 건축설비기술기준과 「KS규격」에 따라, 위생기구별로 "위생기구 배수단위(WFU, Water Fixture Unit)"를 부여합니다.

 

예시)

  • 세면기: 1 WFU
  • 양변기(저수탱크형): 4 WFU
  • 욕조: 3 WFU
  • 싱크대: 2 WFU

각 기구의 WFU를 모두 합산한 뒤, 아래 표를 참고하여 적정 관경을 결정합니다.

총 WFU 최소 관경(mm)
1~4 50
5~10 75
11~20 100
21~35 125
36~60 150
우수배관 설비에 대하여 알아보기

배수관 관경 결정 과정 실제 예시

상황 가정

  • 화장실 1개 (양변기 1개, 세면기 1개, 샤워부스 1개)
  • 주방 1개 (싱크대 1개)

WFU 합산

  • 양변기: 4 WFU
  • 세면기: 1 WFU
  • 샤워부스: 2 WFU
  • 싱크대: 2 WFU

<img src="배수관관경 산정공식.jpg" alt="배수관관경 산정공식에 대하여 알아보자.">
배수관관경 산정공식

관경 선택

  • 9 WFU → 최소 75mm 관 필요

=> 따라서 주 배수관은 75mm 이상으로 선정해야 합니다.

 

층상배관에 대하여 알아보기

배수관 관경 선정 시 추가 고려사항

배수관 관경은 WFU만 보고 기계적으로 정하는 것이 아닙니다. 다음을 반드시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 배관 경사도: 일반적으로 1/50 ~ 1/100 유지.
  • 최대 허용 유속: 2.5m/s 이하.
  • 건물 용도: 호텔, 병원 등에서는 동시사용률이 높아 보정 필요.
  • 청소구 설치: 75mm 이상 배관에는 주기적 청소구 설치 권장.
정화조에 대하여 알아보기

배수관 관경 계산시 흔히 하는 실수

  1. 위생기구의 WFU를 잘못 적용
    • 특히 절수형 변기나 대형 욕조는 주의해야 합니다.
  2. 경사도를 무시하고 관경만 키움
    • 오히려 물흐름이 느려져 막힘 현상 발생.
  3. 건물 사용 특성을 무시
    • 예: 식당 주방은 급격한 동시사용 가능성 높음.

 

배수펌프와 트렌치의 역할에 알아보기

배수관 관경에 관한 개인 경험: 직접 설계하고 고친 사례

몇 년 전, 소형 오피스텔 급배수 설계 당시, 공용 배수관을 50mm로 설계했다가 실제 사용 시 샤워+세탁 동시사용으로 역류 문제가 발생한 적이 있습니다.

 

결국, 시공 완료 후 75mm로 전 구간을 교체하는 큰 공사를 해야 했습니다. 이때 공사비만 추가로 4천만 원이 들었고, 입주자 보상 문제로 골머리를 앓았습니다.

 

그 이후, 관경 계산시 최소 기준보다 항상 한 단계 여유 있게 설계하는 버릇이 생겼습니다.

 

건축물 우수설비 설계 침수 걱정 없는 5가지 체크포인트

배수관 관경 계산, 이렇게 정리하자!

  • 위생기구 WFU 합산 후 관경 표 적용
  • 배관 경사도와 유속까지 체크
  • 건물 사용 특성 고려한 보정
  • 실사용 시 동시사용 최대치를 염두에 둘 것
  • 여유설계를 통한 리스크 최소화
건축설비 시공도면 배관기호 총 정리

배수관 관경 마무리

배수관 관경 계산은 단순히 수치만 맞추는 작업이 아닙니다.

설계자의 세심한 판단과 실무 경험이 녹아들어야 건축물의 품질과 사용자의 편의성을 동시에 지킬 수 있습니다.

 

직접 설계한 건물에서 하자가 없고, 입주자 만족도가 높을 때 느끼는 그 뿌듯함은, 오직 제대로 된 배수설비 설계에서 시작된다는 걸 저는 몸소 체험했습니다.


아래의 글도 참조 하여 봐주시고 많은 공유 부탁드리겠습니다.
 
유건의 건설이야기 : 2번째 블로그 건축설비와 소방설비 및 건설뉴스에 관하여 다룹니다.

유건의 블로그1장 : 건축설비란? 냉난방, 가스, 지역난방설비까지 모든 것!
유건의 블로그2장 : 위생설비란? 급수 배수 오수 환기 위생기구의 모든 것
유건의 블로그3장 : 급수,급탕,환탕이란? 기계실 저수조 부스터펌프 계통도 완전정리
유건의 블로그4장 : 오배수배관이란? 구조, 구배 기준, 통기관 방식까지 한눈에정리!
유건의 블로그5장 : 팬코일배관 완벽 가이드 : 설계, 순환 방식, 유지보수까지 총정리!
유건의 블로그6장 : 기계설비법 개요 및 핵심정리 유지관리 및 성능점검 필수 정보
유건의 블로그7장 : 난방코일배관 완변 가이드 : 지역난방부터 개별난방, 기계실 흐름도까지 총정리
유건의 블로그8장 : 지역난방배관 완벽 가이드 : 개념부터 시공 유지관리 미래전망까지 총정리
유건의 블로그9장 : 내화구조 및 내화충전재 시공 방법 방화구획 배관 덕트 차열재 기준
유건의 블로그10장 : 건축설비 밸브 종류 및 기능 총정리 필수 밸브 가이드
유건의 블로그11장 : 건축설비 슬리브 설치공사 완벽가이드
유건의 블로그12장 : 건축설비 인서트 설치 가이드 하중 계산부터 행거 간격까지 완벽 정리
유건의 블로그13장 : 급수량계산 및 급탕량계산 : 동시사용률 관경 설계가이드
유건의 블로그14장 : 건축설비 에너지 효율화 방안 : 절감과 지속 가능성을 동시에
유건의 블로그15장 : 덕트 및 환기설비공사 완벽 가이드 : 제연설비와 환기설비의 차이점까지
유건의 블로그16장 : 난방부하 완벽 정리! 개념부터 계산법까지 쉽게 이해하기
유건의 블로그17장 : 2025년 개별직종 노임단가 최신 업데이트 건설업 임금 기준 총정리
유건의 블로그18장 : 수압검사 및 기압검사 완벽 가이드 배관 누수테스트 필수 절차
유건의 블로그19장 : 저수조 설치 신고방법 완벽 가이드 필수 서류 & 절차 총정리
유건의 블로그20장 : 벨로즈형 신축이음 : 건축설비배관 필수 장치 완벽 해설
유건의 블로그21장 : 부스터펌프와 인라인펌프 차이점 및 사용처 완벽 정리
유건의 블로그22장 : 주차장 유인휀 설치 : 효과적인 환기 시스템과 유지보수 방법

유건의 블로그23장 : 차압유량조절밸브 최적 설치 위치 및 유량 최적화 가이드

유건의 블로그24장 : 덕트 환기량의 개념과 계산법 마찰 손실과 정압보장 계산까지 정리

유건의 블로그25장 : 배수기구단위 및 배수관경 가이드 원활한 배수를 위한 지침서

유건의 블로그26장 : 배관별 스케쥴 및 관경에 따른 수압시험 압력 분석

유건의 블로그27장 : 보온공사 표준시방서 적용 방법과 필수 체크리스트

유건의 블로그28장 : 배관설비공사 시방서 최적의 재료 선정가이드

유건의 블로그29장 : 열원기기 설비공사 완벽해설 KCS 31 25 10 시방서기준

유건의 블로그30장 : 우수배관 설계부터 시공까지 완벽가이드

유건의 블로그31장 : 공동주택의 급수설비 비교 : 부스터펌프 방식과 수직배관 방식

유건의 블로그32장 : 급수배관 설계시 주요 고려사항

유건의 블로그33장 : 급탕순환펌프의 역할과 효율적인 시스템 설계 방법

유건의 블로그34장 : 건축물 우수설비 설계 침수걱정 없는 5가지요소

유건의 블로그35장 : 배수펌프와 트렌치의 역할 (지하주차장 침수방지)

유건의 블로그36장 : 감압밸브란? 소음, 고장, 조절, 교체비용까지 정리

유건의 블로그37장 : 체크밸브란? 구조,원리,종류 부터 설치방향까지 정리

유건의 블로그38장 : 전열교환기 완전정복 원리,필터,전기세,설치까지

유건의 블로그39장 : 급수설비 시방서

유건의 블로그40장 : 슬리브 설치(2) 상세보기

유건의 블로그41장 : 급탕설비란? 급탕이란 뜻부터 종류, 계통도, 슬리브, 환탕까지 총정리!

유건의 블로그42장 : 압력의 단위 완벽 정리

유건의 블로그43장 : 정화조 청소부터 구조, 설치, 가격까지

유건의 블로그44장 : 수격방지기 구조 완벽 정리

유건의 블로그45장 : 흡수식 냉동기의 원리 및 구조

유건의 블로그46장 : 신축관의 기능과 설치기준, 복식, 단식의 차이

유건의 블로그47장 : 신축관 대신 루프시공으로 대체가능한가?

유건의 블로그48장 : 기계실 팽창기체분리기란 무엇인가?

유건의 블로그49장 : 설비배관 도시기호 완벽해설

유건의 블로그50장 : 부스터펌프 선정기준 및 급수압력 계산법

유건의 블로그51장 : 개인하수처리시설 설치기준, 빗물 이용설비와 중수설비 까지 완벽 가이드

유건의 블로그52장 : 층상배관의 모든 것 총 정리

유건의 블로그53장 : 지역난방 밸브 완전정복, PDCV와 DPV의 차이점

유건의 블로그54장 : 팽창탱크와 팽창기수분리기의 역할, 기능, 차이점

 

 

반응형